image

내일을 향해 달리는
당신의 땀방울을 응원합니다.

일하는 사람들이 존중받고 대접받는 안동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겠습니다.

뉴스 · 새소식

HOME 안동 노동소식 뉴스 · 새소식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군함도 결정은 역사 정의에 대한 심각한 후퇴

작성날짜 : 2025-07-11

일본의 후안무치한 역사 왜곡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강력히 규탄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군함도 결정은 역사 정의에 대한 심각한 후퇴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이하 위원회)에서 한국 정부가 요청한 일본의 군함도 ‘해석 전략 이행 검토’ 안건이 기각됐다. 이는 2015년 일본이 군함도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며 국제사회에 약속했던, 강제동원 역사에 대한 ‘전체 역사(full history)’의 설명과 조치 이행 여부를 공식적으로 검증하려 했던 시도였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위원회는 비밀투표라는 형식 뒤에 숨어 그 책임을 회피했다.

 

이번 결정은 역사 정의를 부정하는 국제사회의 후퇴이며, 일본 정부의 파렴치한 과거사 왜곡을 묵인하는 것과 다름없다.

 

이미 일본은 군함도뿐 아니라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등재 시에도 ‘구 조선반도 출신 노동자’라는 표현으로 강제동원 역사를 의도적으로 은폐했으며, 도쿄 산업유산정보센터에서는 강제노동 자체를 부정하는 전시를 지속하고 있다.

 

문제는 일본만이 아니다. 과거 윤석열 정부는 이른바 ‘한일관계의 미래’를 운운하며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굴욕적인 제3자 변제를 강요했고, 그 결과 돌아온 것은 일본 자위대의 한국 진입 허용, 군국주의적 행보와의 협력 강화, 그리고 국제사회 내 한국 외교의 존재감 실종이었다. 이번 유네스코 결정은 그런 무기력하고 모순적인 대일외교가 낳은 처참한 실패의 결과다.

 

한국노총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비상식적인 결정을 강력히 규탄하며, 일본 정부의 뻔뻔한 역사 왜곡에 다시금 분노를 표한다. 역사적 진실은 부정할 수 없다. 수많은 조선인 노동자들이 군함도에서 강제동원과 고된 노역 속에 목숨을 잃었다는 사실은 외면한다고 해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한국노총은 엄중히 촉구한다. 

 

정부는 역사정의를 바로 세우기 위한 적극적이고 원칙있는 대일외교를 펼쳐야 한다. 또한 사도광산 등 일본 산업유산의 추가 등재 과정에 있어, 강제동원의 진실을 명확히 알리고 일본의 책임 회피를 철저히 감시해야 한다.

 

한국노총 150만 조합원은 선배 노동자들의 희생과 고통을 기억하며, 역사 정의와 평화를 위한 길에 끝까지 함께할 것이다.

 

2025년 7월 10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